본문 바로가기

기회를 포착하는 ENGLISH

YOU vs. YOU - Motivational Speech

반응형

오늘 아침에 본 영상은 뼈를 때리는 문장이 많았습니다. 
같이 한 번 보도록 할게요!

1) That person that's holding you back, that person that's bringing you down, that person is you.

첫 문장부터 와닿는 게 많았네요. 요즘 날씨가 너무 더워서 그런지 처지고 일을 하기 싫을 때가 많은데, 다른 것도 아니고 제 자신이 방해 요인이라는 생각이 다시금 들었습니다. 

여기서 보시면 That person '그 사람이 바로 너다'라는 마지막 문장을 위해서 '그 사람'에 대해서 두 가지 서술을 하고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냐, 바로 'hold you back 당신을 방해하고', 'bring you down 당신을 쓰러뜨리는' 그런 사람이죠.

둘 다 끌어내리는 걸 상상하면서 연습을 해봅시다. 
hold back 의 예문을 같이 살펴볼게요.

The police were unable to hold back the crowd
Do you think that mixed-ability classes hold back the better students?
He could no longer hold back his tears.
She just managed to hold back her anger.

hold back 은 사람이 올 경우에는 '방해하다, 저지하다' 정도로 해석하면 되는데, 사람이 아닌 것이 올 경우에는 '누르다(참다), 말하지 않다'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bring down의 예문을 보시면,

The scandal may bring down the government.
We aim to bring down prices on all our computers.
It's time to bring down the curtain on our relationship.

bring down'쓰러뜨리다, 실각시키다'의 뜻 뿐만 아니라, '줄이다, 떨어뜨리다, 낮추다'의 뜻도 있습니다. 두 번째 예문을 보시면, 가격을 낮추고자 한다는 뜻이죠.

세 번째를 보시면 bring down the curtain이라고 나오는데, 이건 약간 비유적인 표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커튼을 내린다는 것은 극에서 보면 막이 끝났다는 뜻이죠. 그래서 '끝내다'란 뜻으로 쓰입니다.

2) Get your business off the ground

get (something) off the ground는 순조롭게 시작하다 의 뜻입니다. 의미 그대로 해석해보면 바닥에서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순조롭게 뜨는 걸 상상해보시면 됩니다. 

Without more money, the movie is unlikely to get off the ground.

3) Get lit and continue to live below who you were created to be

get lit은 저도 처음 보는 표현입니다. lit이 형용사로 '술에 취한'이란 뜻이 있다고 해요. 그래서 Get lit은 '술에 취한'이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뒤에 있는 표현 continue to live below who you were created to be은 '당신이 창조된 것 이하의 삶을 지속적으로 사는 것'을 말하는데. 좀 더 풀어서 설명해보자면, 자신의 잠재력에 훨씬 못 미친 삶을 계속 사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4) Decide today that you will no longer tolerate losing.

이 문장을 보면서 많은 걸 생각했습니다. 30대가 되면서 기존의 체제에 대한 반항심이 커진 것 같아요. 그래서 특정한 기준으로 제가 잘 못하거나, 아니면 어떤 시험에 떨어졌다거나, 이런 결과를 받아도 '내가 졌다'라는 느낌을 받기보다는 기준이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한 것 같습니다. 근데 그런 생각은 자위일 뿐 나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사회의 기준으로 나를 '승리자'나 '패배자'로 규정할 필요는 없지만, '지는 상황을 계속 견딜'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이 문장을 해석해보면, decide today '오늘 결정해라' you will no longer tolerate losing '네가 더 이상 지는 것을 견디지 않을 것이라고' tolerate 보다 많이 쓰는 표현이 'put up with' 인 것 같습니다. 무언가를 참고 견디고 받아들일 때 쓰는 표현이죠. 

https://youtu.be/Fm1kxdKX5ac

 

반응형